출처: 국토교통부
운항기술기준 전부개정(고정익) 요약한 글입니다. 출처는 국토교통부이며 운항기술기준 전부개정(고정익)에 대한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운항기술기준 전부개정(고정익) 내용에 대한 전문이 필요하신 분은 하단으로 가시면 운항기술기준 전부개정(고정익) 다운로드 및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675호 「항공법」 제74조의2에 따라 "운항기술기준"을 다음과 같이 전부 개정·고시합니다. 2014.10.31 국토교통부
www.molit.go.kr
운항기술기준 전부개정(고정익)
개정 기록표 (RECORD OF AMENDMENTS)
2009.12. 8
Rev. : 2008.8.14.
개 정 지 침 서 (AMENDMENTS)
번호
(No)
개 정 일
(Date applicable)
근 거
기 록 자
(Entered by)
주요개정내용
(Main Contents of Amendments)
1
2001. 10. 4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265호
-
제정
2
2002. 6. 12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111호
-
일부개정
3
2002. 12. 26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2-16호
-
직제 변경
4
2003. 9. 19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3-18호
-
전면개정
5
2004. 4. 14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4-14호
-
제6장 전면개정
6
2004. 7. 14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4-21호
-
ETOPS, RVSM 및 RNP(MNPS)관련내용 개정
7
2004. 8. 24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4-27호
-
제4장 전면개정
8
2004. 12. 31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4-51호
-
제7장 ELT 관련 내용(7.3.7.2) 개정
9
2005. 4. 29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5-19호
-
제9장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 내용(제9.3.1.29조) 개정
10
2005. 11. 8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5-56호
-
-제1장, 제7장, 제8장, 제9장 전면개정 및 제2장, 제5장, 제6장 일부개정
-별표 일부개정 및 별지9 신설
11
2006. 8. 2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6-21호
-
제1장 및 제5장 일부개정
12
2006. 11. 20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6-41호
-
일부개정
13
2007. 12. 26.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7-23호
-
전면개정
14
2008. 3. 26.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8-12호
-
일부개정
15
2008. 8. 14.
항공안전본부고시
제2008-64호
-
제1장, 제2장, 제5장, 제6장, 제7장, 제8장, 제9장 및 별표 일부개정
16
2009. 6. 11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350호
-
직제변경에 따라 국토해양부고시로 제정
17
2009. 12. 8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151호
-
일부개정
18
2010. 7. 5.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437호
-
항공기사용사업자 운항증명 면제, 위험물 교육주기 변경 등
19
2011. 1. 5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1077호
-
수직분리기준축소(RVSM), 비행기록장치, 전방시현장비(HUD) 등 장착․운용, 운항자격심사기준, 성능기반항행(PBN) 장비기준 등
20
2011. 6. 13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280호
-
제9장 항공기 비상탈출시범 관련 내용(9.3.2.1 및 별표 9.3.2.1) 개정
21
2012. 2. 23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79호
-
-제1장, 제5장, 제7장 제8장 일부개정
-제8장 8.5 신설
-별표 일부개정(8.1.8.4)
22
2012. 12. 4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868호
-
-운항승무원 혈중알콜단속기준
-운항승무원의 비행경험 등
-객실승무원에 대한 자격유지조건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 관련 내용
-정비조직인증관련 기준 등 개정
23
2013.04.3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211호
-
-정부조직 개편에 따른 조직명 변경 등 일부개정
24
2013.06.25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368호
-
-비행교관의 자격 및 비행경험 기준
-비상전력 제공 및 구명보트 장착기준
-조종실음성기록 및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 장착기준
-회전익항공기의 전방시현장비 등의 사용 요건
-항공기 성능운용제한 준수, 상승 강하율 운영 및 항행데이터 적용 기준
-항공기 운영자의 정비관리교범 및 정비프로그램 운영 기준
-항공기 보안 및 불법방해행위 발생 보고 절차 등
25
2013.09.1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46호
-
- 무인항공기의 정의 등 신설
- 보정연료 등 연료탑재기준 개정
- 비행중 연료관리 신설
- 회항시간 연장운항 관련 기준 신설
- 별표 8.1.9.13, 6.4.4.5 및 별지 제17호 서식 신설 등
26
2014.02.0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62호
-
- 감항성개선지시의 정의 등 신설
- 계기비행상태에서의 착륙 기준
- 조종사의 운항경험 및 운항자격
- 특수공항 지정기준 및 세부절차
-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 기상조건에서의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의 운항 등
- 별표 8.1.9.1, 8.4.8.33, 8.4.9.4, 9.1.19.6 및 별지 제18호(특수공항․해지 평가서), 제19호(ICAO 비행계획서 양식) 신설 등
27
2014.10.3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675호
-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기술기준 및 회전익항공기를 위한 기술기준으로 전부 개정
2011. 1. 5
2014.10.31.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목 차
제1장 총칙(General) 1-1
1.1 규정의 구성 1-1
1.1.1.1 목적(Objectives) 1-1
1.1.1.2 적용(Applicability) 1-1
1.1.1.2.1 유효기간(Duration) 1-1
1.1.1.3 규정의 구성(Organization of Regulations) 1-1
1.1.1.4 용어의 정의(Definitions) 1-2
1.2 시험,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와 관련한 일반 행정규정(General administrative rules governing testing, Licenses, and Certificates) 1-12
1.2.1.1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의 게시 및 검사(Display and inspecting of Licenses and Certificates) 1-13
1.2.1.2 이름(명칭) 변경(Change of name) 1-14
1.2.1.3 주소 변경(Change of address) 1-14
1.2.1.4 분실 또는 파손된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재발급(Replacement of a lost or destroyed airman or medical certificate) 1-14
1.2.1.5 신청서, 증명서, 항공일지, 보고서 또는 기록의 위조, 복제 또는 변조(Falsification, reproduction, or alteration of applications, certificates, logbooks, reports, or records) 1-15
1.2.1.6 자격증명서 및 기타 증명서의 포기, 일시 정지 또는 취소의 효력(Surrender, Suspension, or Revocation of License or Certificate) 1-15
1.2.1.7 취소 후 재신청(Reapplication After Revocation) 1-15
1.2.1.8 일시 정지 후 재신청(Reapplication After Suspension) 1-16
1.2.1.9 자격증의 자발적인 포기 또는 교환(Voluntary Surrender or Exchange of License) 1-16
1.2.1.10 항공신체검사 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되어 업무수행을 금지하는 경우 (Prohibition on Performance During Medical Deficiency) 1-16
1.2.1.11 주정음료 등의 측정과 보고(Drug and Alcohol Testing and Reporting) 1-16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1.3 예외적용(Exemptions and Equivalent Safety case) 1-17
1.3.1.1 예외적용(Exemptions and Equivalent Safety Case) 1-17
1.4. 협조(Coordination on certification, licensing and approval activities) 1-17
1.5. 항공법령과의 관계(The relation between Flight Safety Regulation and Aviation legislation) 1-17
1.6 운항기술기준 관리(Control and Amendments of Flight Safety Regulations) 1-17
1.7 외국의 법규준수(Compliance with Local Regulation) 1-18
1.8 외국 항공운송사업자의 국내법규 준수(Compliance with laws, regulations and procedures by a foreign operator) 1-18
1.9 항공안전감독관의 긴급보고 등 1-19
1.10 공해상에서의 비행규칙(Compliance with Annex 2 over the high seas airspace) 1-19
제2장 자격증명(Personal licensing) 2-1
2.1 일반 자격증명 요건(General Licensing Requirements) 2-1
2.1.1 일반(General) 2-1
2.1.1.1 적용(Applicability) 2-1
2.1.1.2 자격요건의 정의(Definitions of Licensing Requirements) 2-1
2.1.2 자격증명, 한정자격, 허가서(License, Ratings, and Authorizations) 2-1
2.1.2.1 적용(Applicability) 2-1
2.1.2.2 자격증명 발행(Licenses Issued) 2-1
2.1.2.3 한정자격 발행(Ratings Issued) 2-2
2.1.2.4 허가서 발행(Authorization Issued) 2-4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1.2.5 자격증명, 한정자격 및 허가의 기간(Duration of Licenses, Ratings, and Authorizations) 2-4
2.1.2.6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한정자격 및 인가에 관한 일반사항(General Requirements : Personnel Licenses, Ratings, and Authorizations) 2-4
2.1.2.7 외국인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증명의 전환(Pilot License and Ratings Issued on the Basis of a Foreign Pilot License) 2-5
2.1.3 외국 및 군조종사의 자격증명과 한정자격의 인정(Validation of Foreign and Military Licenses and Ratings) 2-6
2.1.3.1 외국자격에 근거한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Private Pilot License and ratings issued on the basis of a foreign pilot license) 2-6
2.1.3.2 군 조종사 경력 인정(Special Rules for Military Pilots or Former Military Pilot) 2-6
2.1.4 시험 및 훈련 요구량에 대한 일반사항(General Testing and Training Requirements) 2-6
2.1.4.2 학과시험 합격 점수 (Knowledge test : Prerequisites and Passing Grades ) 2-6
2.1.4.3 실기시험 응시자격 (Practical Test Prerequisites) 2-6
2.1.4.4 실기시험 일반절차(General Procedure) 2-7
2.1.4.5 실기시험에 요구되는 항공기와 장비(Practical Tests : Required Aircraft and Equipment) 2-7
2.1.4.6 훈련시간 기록(Records of Training Time) 2-7
2.1.4.7 교통안전공단이사장에 의해 자격증명을 받지 않은 비행교관으로부터 받은 비행훈련 (Flight Training Received From Flight Instructors Not Licensed by the Authority) 2-8
2.1.4.8 모의비행장치와 비행훈련장치 사용에 대한 제한사항(Limitations on the Use of Flight Simulators and Flight Training Device) 2-8
2.2 조종사 및 비행교관의 자격(CERTIFICATION : PILOTS, FLIGHT INSTRUCTORS) 2-8
2.2.1 한정자격 및 허가서(Aircraft ratings and Pilot authorizations) 2-8
2.2.1.1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 2-8
2.2.1.2 계기비행증명시험 응시요건(Instrument Rating Requirements) 2-8
2.2.1.3 조종사의 종류 한정자격(Category Rating) 2-9
2.2.1.4 조종사의 등급 한정자격(Class Rating) 2-9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2.1.5 형식 한정자격(Type Rating) 2-10
2.2.1.6 정밀계기접근 제2종 또는 제3종(CAT-II 또는 CAT-III) 조종사허가서(Category II and III pilot authorization requirements) 2-10
2.2.2 조종연습허가서(Student pilot license) 2-11
2.2.2.1 적용(Applicability) 2-11
2.2.2.2 조종연습생의 자격조건(Eligibility Requirements for Student Pilots) 2-11
2.2.2.3 조종연습 허가서 신청(Application) 2-12
2.2.2.4 조종연습생의 단독비행 조건(Solo Requirements for Student Pilots) 2-12
2.2.2.5 조종연습생 일반 제한사항 (General Limitations) 2-12
2.2.2.6 조종연습생의 단독 야외 비행조건 (Solo Cross-Country Flight Requirements) 2-13
2.2.3 자가용조종사(Private pilots) 2-14
2.2.3.1 적용(Applicability) 2-14
2.2.3.2 자가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2-14
2.2.3.3 자가용조종사 항공지식(Aeronautical Knowledge) 2-14
2.2.3.4 자가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2-14
2.2.3.5 자가용조종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2-15
2.2.3.6 자가용조종사 업무제한(Private Pilot with Balloon Rating : Limitations) 2-16
2.2.4 사업용조종사(Commercial Pilot) 2-16
2.2.4.1 적용(Applicability) 2-16
2.2.4.2 사업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2-16
2.2.4.3 사업용조종사항공지식(CommercialPilot:AeronauticalKnowledge Requirements) 2-16
2.2.4.4 사업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Requirements) 2-16
2.2.4.5 사업용조종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2-16
2.2.4.6 사업용조종사 업무범위(Commercial Pilot Privileges and Limitations) 2-17
2.2.5 운송용조종사(Airline Transport Pilot) 2-17
2.2.5.1 적용(Applicability) 2-17
2.2.5.2 운송용조종사 자격조건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2-17
2.2.5.3 운송용조종사 지식(Aeronautical Knowledge) 2-17
2.2.5.4 운송용조종사 비행기량(Flight Proficiency) 2-18
2.2.5.5 운송용조종사(비행기)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Aeroplane Category Rating) 2-18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2.5.6 운송용조종사(회전익항공기)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 Rotorcraft Category and Helicopter Class Rating) 2-18
2.2.5.7 운송용조종사의 종류 및 등급 한정자격 추가(Additional Aircraft Category, Class, and Type Ratings) 2-19
2.2.5.8 운송용조종사의 업무범위(Airline Transport Pilot Privileges) 2-19
2.2.6 부조종사 2-19
2.2.6.1 적용 2-19
2.2.6.2 부조종사 자격조건 2-19
2.2.7 경량항공기 2-19
2.2.7.1 적용 2-19
2.2.7.2 경량항공기 자격조건 2-19
2.2.7.3 경량항공기 경험 2-20
2.3 조종사 이외의 운항승무원 자격증명(Certification : Flight Crew members Other Than Pilots) 2-20
2.3.1 항공기관사(Flight engineers) 2-20
2.3.1.1 적용(Applicability) 2-20
2.3.1.2 항공기관사 자격증명 및 한정자격(Licenses and Ratings Required) 2-20
2.3.1.3 항공기관사 자격요건(Eligibility Requirements General) 2-20
2.3.1.4 항공기관사 한정자격 추가(Additional Aircraft Ratings) 2-20
2.3.1.5 항공기관사 항공지식(Knowledge Requirements) 2-20
2.3.1.6 항공기관사 경험(Aeronautical Experience Requirements) 2-21
2.3.1.7 항공기관사 기량(Skill Requirements) 2-21
2.3.1.8 외국 항공기관사 자격증명의 전환(Flight Engineer License Issued on Basis of a Foreign Flight Engineer License) 22-2
2.3.1.9 항공기관사의 업무범위(Flight Engineer Privileges) 2-22
2.4 운항승무원 이외의 항공종사자 자격증명(Licensing : airmen other than flight crew members) 2-22
2.4.1 일반(General) 2-22
2.4.1.1 적용(Applicability) 2-22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4.2 항공교통관제사(Air traffic controllers) : 삭 제 (‘08. 8. 14) 2-22
2.4.3 운항관리사(Flight operation officers) 2-22
2.4.3.1 적용(Applicability) 2-22
2.4.3.2 운항관리사의 자격조건(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2-22
2.4.3.3 운항관리사의 지식(Knowledge Requirements) 2-22
2.4.3.4 운항관리사의 경험 또는 훈련요건(Experience or Training Requirements) 2-23
2.4.3.5 운항관리사의 기량(Skill Requirements) 2-23
2.4.3.6 운항관리사의 업무범위(Privileges and Limitations) 2-23
2.4.4 항공정비사 관련 자격증명(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2-24
2.4.4.1 적용(Applicability) 2-24
2.4.4.2 항공정비사 자격조건(Aircraft maintenance Type II Licenses : Eligibility Requirements : General) 2-24
2.4.4.3 항공정비사 항공기 한정자격 지식(Aircraft Rating : Knowledge Requirements) 2-24
2.4.4.4 항공정비사 경험(Experience Requirements) 2-25
2.4.4.5 항공정비사 기량(Skill Requirements) 2-25
2.4.4.6 항공정비사 업무범위(Privileges and Limitations) 2-25
2.4.4.7 정비업무범위 2-25
2.4.5 항공공장정비사(Aviation Repair Specialists) <삭 제, 2009.12. 8> 2-25
2.5 항공기승무원 신체검사기준과 증명서 교부(Medic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2-25
2.5.1 일반(General) 2-25
2.5.1.1 적용(Applicability) 2-26
2.5.1.2 항공신체검사 기록(Medical Records) 2-26
2.5.1.3 항공전문의사의 권한(Aviation Medical Examiner : Authority) 2-26
2.5.1.4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의 권한(The Aerospace Medical Association of Korea : Authority) 2-27
2.5.2 항공신체검사증명서 발급절차(Medical Certification Procedures) 2-27
2.5.2.1 적용(applicability) 2-27
2.5.2.2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발급(Issuance of Medical Certificate) 2-28
2.5.2.3 항공신체검사증명서 기준 및 유효기간 2-28
2.5.2.4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조건부 발급(Special Issuance of Medical Certificate) 2-28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2.5.2.5 항공신체검사증명서의 갱신(Renewal of Medical Certificate) 2-28
2.5.2.6 항공신체검사증명의 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2-29
2.5.3 자격증명별 항공신체검사기준(Physical and Mental Standards-All Medical Certificate) 2-29
2.5.3.1 내지 2.5.3.11 <삭제, ‘06.11.20.> 2-29
2.5.4 안과 전문의사 검진(Ophthalmic Examination) 2-29
2.5.4.1 눈 수술(Eye Surgery) 2-29
2.5.4.2 선글라스 착용(Sunglasses) : 삭제(‘06.11.20.) 2-29
2.5.4.3 다른 부적격 신체검사 기준(Other Disqualifying Physical Conditions) : 삭제(‘06.11.20) 2-29
2.5.5 신체상태의 저하(Decrease in medical fitness) 2-29
제3장 항공훈련기관(Aviation Training Organizations) 3-1
3.1 일 반(General) 3-1
3.1.1 적 용(Application) 3-1
3.1.2 정의(Definitions) 3-1
3.2 항공훈련기관 인가(ATO Certificate) 3-2
3.2.1 운영요건(Operating Requirements) 3-2
3.2.2 인가신청(Application for Certificate) 3-2
3.2.3 인가서의 교부(Issuance of Certificate) 3-3
3.2.4 변경신청(Application for Amendment) 3-3
3.2.5 보고사항(Notice To The Authority) 3-4
3.2.6 인가의 정지 또는 취소(Suspension or Revocation of Certificate) 3-4
3.2.7 훈련과정과 종사자의 요건(Training Courses and Personnel Requirements) 3-4
3.3 훈련장소와 시설(Training Location and Facilities) 3-5
3.3.1 시설과 장비(Facilities and Equipment) 3-5
3.3.2 검사(Inspection) 3-6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3.4 훈련과정(Training Courses) 3-6
3.4.1 훈련과정의 구분(Categories of Training Courses) 3-6
3.4.2 훈련과정에 포함될 사항(Contents of Training Courses) 3-7
3.4.3 훈련과정의 수정 등(Changes of Training Courses, etc) 3-7
3.4.4 품질보증시스템(Quality Assurance System) 3-7
3.5 종사자 요건(Personnel Requirements) 3-7
3.5.1 설치자의 자격요건(Organizer Requirements) 3-7
3.5.2 책임 관리자의 자격요건(Accountable Manager Requirements) 3-8
3.5.3 주임교관의 자격요건(Chief Instructor Requirements) 3-8
3.5.4 교관의 자격요건(Instructor Requirements) 3-8
3.5.5 교관훈련 및 시험요건(Instructor Training and Testing Requirements) 3-8
3.5.6 평가관의 자격요건 및 인정(Evaluator Requirements and Authorization) 3-9
3.5.7 교관 및 평가관의 권한 및 제한(Instructor and Evaluator Privileges and Limitation) 3-10
3.6 운영규칙(Operating Rules) 3-10
3.6.1 훈련과정의 인정(Approval of Training Courses) 3-10
3.6.2 준수사항(Limitations) 3-11
3.7 행정업무(Administrative) 3-11
3.7.1 기록관리(Record Keeping) 3-11
3.7.2훈련이수증명서(Graduation Certificates) 3-12
3.7.3 성적증명서(Transcripts) 3-12
3.7.4 광고의 제한사항(Advertising Limitation) 3-12
제4장 항공기 등록 및 등록부호 표시(AIRCRAFT REGISTRATION AND MARKING) 4-1
4.1 일반(GENERAL) 4-1
4.1.1.1 적용(Applicability) 4-1
4.1.1.2 정의(Definitions) <삭 제, 2009.12. 8> 4-1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4.2 항공기 등록요건(REGISTRATION REQUIREMENTS) 4-1
4.2.1.1 일반(General) 4-1
4.2.1.2 항공기 등록의 적합성(Registration Eligibility) 4-1
4.2.1.3 항공기 등록신청(Application) 4-1
4.3 등록부호 표시 (DISPLAY OF NATIONALITY AND REGISTRATION MARKS) 4-1
4.3.1.1 적용(Applicability) 4-1
4.3.1.2 일반(General) 4-1
4.3.1.3 등록부호 표시 : 일반(Display of Marks : General) 4-2
4.3.1.4 등록부호의 크기(Size of Marks) 4-2
4.3.1.5 비행기와 활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Airplane and Glider) 4-3
4.3.1.6 회전익항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Rotorcraft) 4-4
4.3.1.7 경항공기의 등록부호 표시장소(Location of Marks on Lighter-Than-Air Aircraft) 4-4
4.3.1.8 등록부호의 크기와 표시장소의 예외(Deviation for Size and Location of Marks) <삭 제, 2009.12. 8> 4-4
4.3.1.9 항공기 매각 : 등록부호 제거(Sale of Aircraft : Removal of Marks) <삭 제, 2009.12. 8> 4-4
4.3.1.10 등록기호표의 부착(Affixment of Registration Number) 4-4
제5장 항공기 감항성(Airworthiness) 5-1
5.1 일반(General) 5-1
5.1.1 적용(Applicability) 5-1
5.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5-1
5.1.3 약어(Acronyms) 5-2
5.2 형식증명, 수입항공기등의 형식증명승인 및 형식증명의 변경(Type Certification, Type Certificate Validation of Imported Aircraft and Change to Type Certificate) 5-2
5.3 부가 형식증명(Supplemental Type Certificates) 5-2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5.4 소음기준적합증명 5-2
5.5 항공기 등의 감항성 증명 (Airworthiness Certificates) 5-3
5.6 제작증명(Production certificate) 5-3
5.7 기술표준품 형식승인(Technical Standard Order authorizations) 5-3
5.8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Unapproved Parts and Suspected Unapproved Parts) 5-3
5.8.1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사용금지 5-3
5.8.2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검사 방법 5-4
5.8.3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신고 5-6
5.8.4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격리 5-6
5.8.5 비인가부품 및 비인가의심부품의 조사 5-6
5.8.6 운항중지 항공기의 부품 사용 5-7
5.8.7 사고 항공기의 부품 사용 5-7
5.8.8 폐기부품의 처분 5-8
5.9 항공기 및 장비품의 지속적인 감항성 유지(Continued Airworthiness of Aircraft and Components) 5-9
5.9.1 적용(Applicability) 5-9
5.9.2 책임(Responsibility) 5-9
5.9.3 일반(General) 5-10
5.9.4 고장, 기능불량 및 결함의 보고(Reports of Failures, Malfunctions, and Defects) 5-10
5.9.5 감항성개선지시(Airworthiness Directives) 5-11
5.10 항공기 정비등(Aircraft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Alteration) 5-12
5.10.1 적용(Applicability) 5-12
5.10.2 정비, 예방정비, 재생 및 개조를 수행하도록 인가된 자(Persons Authorized to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Alteration) 5-12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5.10.3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의 수행 후 사용가능상태로의 승인 (Approval for return to service after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or alteration) 5-13
5.10.4 항공제품에 대한 정비등의 수행 후 사용가능상태로 승인할 수 있는 자(Authorized Personnel to Approve for Return to Service) 5-13
5.10.5 <삭제> 5-14
5.10.6 수행 원칙 : 정비(Performance Rules : Maintenance) 5-14
5.10.7 추가 수행 원칙 : 검사(Additional Performance Rules for Inspections) 5-14
5.10.8 수행원칙 : 감항성 한계사항(Performance Rules : Airworthiness Limitation) 5-15
5.10.9 수리개조승인(Approved Major Repair and Alteration) 5-16
5.10.10 수명한계부품의 처리(Disposition of life-limited aircraft parts) 5-16
5.11 정비 기록 및 기재(Maintenance Records and Entries) 5-17
5.11.1 정비등 기록의 내용, 양식, 처리(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Modification Records) 5-17
5.11.2 오버홀과 재생에 대한 기록 (Records of Overhaul and Rebuilding) 5-18
5.11.3 정비기록 : 위조, 복제 또는 변조 (Maintenance records : Falsification, reproduction, or alteration) 5-18
5.11.4 검사기록의 내용, 양식, 대수리 및 처리(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Records for Inspection) 5-19
제6장 정비조직 인증 기준(Approval for Maintenance Organization) 6-1
6.1 총칙(General) 6-1
6.1.1 목적(Purpose) 6-1
6.1.2 적용(Applicability) 6-1
6.1.3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s) 6-1
6.1.4 약 어(Acronyms) 6-2
6.1.5 정비 등의 수행기준(General Performance Rules) 6-2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6.1.6 인증서 및 운영기준의 요건(Certificate and Operations Specifications Requirements) 6-4
6.1.7 안전정책 수립(Safety policy) 6-4
6.1.8 정비분야 인적요소(Human factors in aircraft maintenance) 6-4
6.2 인 증(Certification) 6-4
6.2.1.1 인증의 신청(Application for Certificate) 6-4
6.2.2 인증서의 발행 및 인증서의 유효성에 대한 수시점검(Issue of Certificate and Surveillance for the validate of certificate) 6-5
6.2.3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갱신(Duration and Renewal of Certificate) 6-5
6.2.4 인증서의 개정(Amendment to or Transfer of Certificate) 6-6
6.2.5 업무한정(Ratings) 6-6
6.2.6 업무한정의 제한(Limited Ratings) 6-8
6.3 건물, 시설, 장비, 자재 및 자료(Housing, Facilities, Equipment, Materials and Data) 6-9
6.3.1 일 반(General) 6-9
6.3.2 건물 및 시설의 요건(Housing and Facilities Requirements) 6-9
6.3.3 건물 및 시설의 소재지 변경(Change of Location, Housing or Facilities) 6-10
6.3.4 장비, 자재 및 자료의 요건(Equipment, Materials and Data Requirements) 6-10
6.4 인력(Personnel) 6-10
6.4.1 인력의 요건(Personnel Requirements) 6-11
6.4.2 감독자의 요건(Supervisory Personnel Requirements) 6-11
6.4.3 검사원의 요건(Inspection Personnel Requirements) 6-11
6.4.4 품목의 항공에 사용승인 인력 요건(Personnel Authorized to Approve an Article for Return to Service) 6-12
6.4.5 관리자, 감독자 및 검사 인력에 대한 기록(Record of Management, Supervisory and Inspection Personnel) 6-12
6.4.6 교육훈련의 요건(Training Requirements) 6-13
6.4.7 기술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의 인력요건(Personnel Requirements of Engineering support and Quality control) 6-13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6.5 운영준칙(Operating Rules) 6-14
6.5.1 인증서의 권한 및 제한(Privileges and Limitations of Certificate) 6-14
6.5.2 타 장소 수행 작업(Work Performed at Another Location) 6-14
6.5.3 항공사 등을 위한 정비 등(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Alterations Performed for Certificate Holder of Air Operator Certificate) 6-14
6.5.4 정비조직절차교범(AMO Procedure Manual) 6-15
6.5.5 정비조직절차교범의 내용(AMO Procedure Manual Contents) 6-15
6.5.6 품질관리시스템(Quality Control System) 6-16
6.5.7 정비등의 검사(Inspec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or Alterations) 6-17
6.5.8 수행능력 목록(Capability List) 6-18
6.5.9 계약정비(Contract Maintenance) 6-18
6.5.10 기록유지(Record keeping) 6-19
6.5.11 고장 등의 보고(Service Difficulty Reports) 6-19
6.5.12 국토교통부장관의 감독(MLIT Inspections) 6-19
6.5.13 부당한 행위에 대한 조치(Compliance and Enforcement) 6-19
제7장 항공기 계기 및 장비(Instrument and Equipment) 7-1
7.1 일반(General) 7-1
7.1.1 적용(Applicability) 7-1
7.1.2 용어의 정의(Definition) 7-1
7.1.3 약어(Acronyms) 7-1
7.1.4 계기 및 장비 일반요건(General Instruments and Equipment Requirements) 7-2
7.1.5 비행 및 항법계기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s for 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7-3
7.1.6 최소 비행 및 항법계기(Minimum 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7-3
7.1.7 두 명의 조종사가 요구되는 운항을 위한 계기(Instruments for Operations Requiring Two Pilots) 7-4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1.8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 (IFR Instrument) 7-4
7.1.9 예비 자세지시기(Standby Attitude Indicator) 7-4
7.1.10 정밀계기접근 제2종 운항을 위한 계기 및 장비(Instruments and Equipment for Category II Operations) 7-5
7.1.11 무선통신장비(Radio Equipment) 7-6
7.1.12 항공기 등불과 계기조명(Aircraft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7-7
7.1.13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7-7
7.1.14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7-7
7.1.14.1 비상장비(Emergency Equipment) 7-7
7.1.14.2 시각신호장비(Visual Signaling Devices) 7-8
7.1.14.3 구명장비(Survival Kits) 7-8
7.1.14.4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7-8
7.1.14.5 파괴위치 표시(Marking of Break-in Points) 7-8
7.1.14.6 산소저장 및 분배장치(Oxygen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7-9
7.1.14.8 탑재하는 비상장비 및 구명장비에 관한 기록(Records of emergency and survival equipment carried) 7-10
7.1.14.9 비상탈출장비(Emergency Exit Equipment) 7-10
7.1.14.10 휴대용 소화기(Portable Fire Extinguishers) 7-11
7.1.14.11 화장실 소화기(Lavatory Fire Extinguisher) 7-11
7.1.14.12 화장실 연기 감지기(Lavatory Smoke Detector) 7-11
7.1.14.13 구급, 감염예방 및 비상의료 용구(First-Aid, Unversal Precaution and Emergency Medical Kit) 7-11
7.1.14.14 구급용 산소공급 기구(First Aid Oxygen Dispensing Units) 7-12
7.1.14.15 개인 부양장비(Individual Flotation Devices) 7-12
7.1.14.16 구명보트(Life Raft) 7-12
7.1.14.16A 수중위치전파발생기(Underwater Locating Device) 7-13
7.1.15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 삭제(‘08.8.14) 7-13
7.1.16 특별운항에 관한 요건(Requirements for Specific Operations) 7-13
7.1.16.1 수직분리축소(RVSM) 공역의 운항을 위한 요건(Requirements for Operations in RVSM Airspace) 7-13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1.16.2 성능기반항행(PBN)요구 공역의 운항을 위한 요건 (Requirements for Operations in PBN Airspace) 7-14
7.1.16.3 최소항행성능요건 적용공역의 운항을 위한 항행장비(Navigation Equipment for Operations in MNPS Airspace) 7-14
7.1.17 비행기록장치(Flight Recorders) 7-15
7.1.17.1 일반 7-15
7.1.17.2 조종실음성기록장치(Cockpit Voice Recorders) 및 조종실음향기록시스템(Cockpit Audio Recording Systems) 7-15
7.1.17.2A 조종실음성녹음장치 대체 동력(Cockpit Voice Recorder alternate power) 7-16
7.1.17.3 데이터 링크 기록장치 7-17
7.1.17.4 비행자료기록장치(Flight Data Recorders) 및 항공기자료기록장치 (Aircraft Data Recording Systems) - 비행기(Airplane) 7-17
7.1.17.6 지속적인 운용성(continued serviceability) 7-20
7.1.17.7 비행기록장치 기록의 보존(Retention of Flight recorder records) 7-21
7.1.17.8 비행기록장치 운용(Flight recorder Operation) 7-21
7.1.17.9 비행기록장치의 제조 및 장착(Flight recorder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7-21
7.1.17.10 Flight recorder electronic documentation (비행기록장치의 전자문서) 7-21
7.1.18 지상접근경고장치(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7-21
7.1.19 공중충돌경고장치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7-22
7.1.20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 삭제<‘08.8.14> 7-22
7.1.21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7-22
7.1.21.1 일반(General) 7-22
7.1.21.2 좌석․안전벨트 및 어깨끈(Seats, Safety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7-23
7.1.21.3 보호용 회로 퓨즈(Protective Circuit Fuses) 7-23
7.1.21.4 방빙장비(Icing Protection Systems) 7-24
7.1.21.5 동압구 가열지시 장치(Pitot Heat Indication Equipment) 7-24
7.1.21.6 정압장치(Static Pressure System) 7-24
7.1.21.7 조종석 와이퍼(Windshield Wipers) 7-24
7.1.21.8 차트받침(Chart Holder) 7-24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1.21.9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Pressure altitude Reporting Transponder) 7-24
7.1.21.10 방사선 투사량계(Cosmic Radiation Detection Equipment) 7-25
7.1.21.11 전방시현장비 또는 시각강화장비가 장착된 비행기(Aeroplanes equipped with head-up displays(HUD) and/or enhanced vision systems(EVS)) 7-25
7.2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7-26
7.2.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7-26
7.2.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7-26
7.3 항공기 사용사업용(Aerial work avi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7-27
7.3.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7-27
7.3.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7-27
7.3.1.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IFR Instrument) 7-27
7.3.1.4 승무원 인터폰 장비 (Crew member Interphone System) 7-27
7.3.2 비행기 등불과 계기조명(Aeroplane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7-28
7.3.3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7-28
7.3.4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 <삭 제, 2009.12. 8> 7-28
7.3.5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7-28
7.3.5.1 도끼(Crash Axe) 7-28
7.3.5.2 호흡보호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7-29
7.3.6 승객안내표시(Passenger Information Signs) <삭제, 2010.7.5> 7-29
7.3.7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Power Supply, Distribution and Indication System) 7-29
7.4 항공운송사업용(Air transport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7-30
7.4.1 항공기 계기 및 장비요건(Instrument and Equipment Requirements : Commercial Air Transport) 7-30
7.4.1.1 비행 및 항법 계기(Flight and Navigational Instruments) 7-30
7.4.1.2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시 갖추어야 할 계기(IFR Instrument) 7-30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7.4.1.4 항행을 지속할 수 있는 충분한 항행장비 탑재(Sufficiently navigation equipment to continue flight) 7-30
7.4.1.5 승무원 인터폰 장비 (Crew member Interphone System) 7-31
7.4.2 비행기 등불과 계기조명(Aeroplane Light and Instrument Illumination) 7-31
7.4.3 엔진계기(Engine Instruments) 7-32
7.4.4 착륙장치 음성경고장치(Landing Gear : Aural Warning Device) 7-32
7.4.5 고도경보장치(Altitude Alerting System) 7-33
7.4.6 기압고도보고 트랜스폰더(Pressure-altitude Reporting Transponder) 7-33
7.4.7 저고도 돌풍경보시스템(Low-Altitude Windshear System) 7-33
7.4.8 비상, 구조 및 구명장비(Emergency, Rescue and Survival Equipment) 7-34
7.4.8.1 도끼(Crash Axe) 7-34
7.4.8.2 호흡보호장비 (Protective Breathing Equipment) 7-34
7.4.8.3 확성기(Megaphone) 7-34
7.4.9 기타 시스템 및 장비(Miscellaneous Systems and Equipment) 7-35
7.4.9.1 객실 및 조종실 문(Passengers and Pilot Compartment Doors) 7-35
7.4.9.2 승객안내표시(Passenger Information Signs) 7-35
7.4.9.3 기내방송시스템(Public Address System) 7-35
7.4.9.4 전원공급, 분배 및 지시장치(Power Supply, Distribution and Indication System) 7-36
제8장 항공기 운항(OPERATIONS) 8-1
8.1 일반(General) 8-1
8.1.1 적용(Applicability) 8-1
8.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8-1
8.1.3 약어(Acronyms) 8-8
8.1.4 항공기 요건(Aircraft Requirements) 8-9
8.1.4.1 항공기의 감항성(Civil Aircraft Airworthiness) 8-9
8.1.4.2 특별감항증명서의 운항제한(Special Airworthiness Certificate Operational Restictions) 8-9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4.3 항공기의 계기 및 장비(Aircraft Instruments and Equipment) 8-10
8.1.4.4 고장난 상태의 계기 및 장비(Inoperative Instruments and Equipment) 8-10
8.1.4.5 비행교범, 표시 및 플래카드 요건(Civil Aircraft Flight Manual, Marking and Placard Requirements) 8-11
8.1.4.6 항공기 및 장비 검사요건(Required Aircraft and Equipment Inspections) 8-11
8.1.5 항공기 탑재 서류(Documents to be Carried on Aircraft : All Operations) 8-12
8.1.6 항공기 정비요건 (Aircraft Maintenance Requirement) 8-13
8.1.6.1 적용 (Applicability) 8-13
8.1.6.2 일반 (General) 8-13
8.1.6.3 요구되는 정비사항 (Maintenance Required) 8-14
8.1.6.4 항공기 검사 (Inspections) 8-14
8.1.6.5 항공기 정비프로그램의 변경(Changes to Aircraft Maintenance Programs) 8-16
8.1.6.6 정비, 재생 및 개조기록(Content, Form, and Disposition of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Rebuilding, and Modification Records) 8-17
8.1.6.7 정비기록 보존(Maintenance Records Retention) 8-17
8.1.6.8 정비기록의 양도(Transfer of Maintenance Records) 8-18
8.1.7 운항승무원 요건(Flight Crew Requirements) 8-18
8.1.7.1 운항승무원의 구성(Composition of the Flight Crew) 8-18
8.1.7.2 운항승무원의 자격(Flight Crew Qualifications) 8-18
8.1.7.2.A 운항승무원의 ACAS 훈련(Flight Crew Training for ACAS) 8-18
8.1.7.3 형식한정이 없는 경우의 운항허가 등(Authorization in lieu of a type rating) 8-20
8.1.7.4 계기비행방식 운항을 위한 자격요건(Rating Required for IFR Operations) 8-21
8.1.7.5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운항 특별허가 요건(Special Authorization Required for Category II/III Operations) 8-21
8.1.7.6 조종사 비행기록부(Pilot Logbooks) 8-22
8.1.8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8-22
8.1.8.1 기장의 권한과 책임(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PIC) 8-22
8.1.8.2 부주의 또는 난폭한 항공기 운항(Negligent or Reckless Operations of the Aircraft) 8-23
8.1.8.3 운항승무원의 신체조건(Fitness of Flight Crew Members) 8-23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8.4 주정음료등의 사용 등(Use of Narcotics, Drug or Intoxicating Liquor) 8-23
8.1.8.5 승무원의 좌석벨트와 어깨끈의 사용(Crew Member Use of Seat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8-24
8.1.8.6 운항승무원의 임무위치(Flight Crew Members at Duty Stations) 8-25
8.1.8.7 운항승무원의 필요장비(Required Crew Members Equipment) 8-25
8.1.8.8 점검표의 준수(Compliance with Checklists) 8-25
8.1.8.9 수색 및 구조정보(Search and Rescue Information) 8-25
8.1.8.9.A 수색과 구조(Search and Rescue) 8-26
8.1.8.10 항공기 서류 및 비행 서류의 제시(Production of Aircraft and Flight Documentation) 8-27
8.1.8.11 운항자격심사관 및 항공안전감독관의 조종실 출입(Admission of Check Airman and Inspector to the Flight Deck) 8-27
8.1.8.12 기계적인 비정상보고 (Reporting Mechanical Irregularities) 8-27
8.1.8.13 항공안전장애 보고(Reporting of Incidents) 8-27
8.1.8.14 위험상태 보고(Reporting of Hazardous Conditions) 8-28
8.1.8.15 준사고 등 보고(Reporting of Serious Incidents) 8-28
8.1.8.16 사고 보고(Reporting of Accident) 8-28
8.1.8.17 조종실 음성기록장치 및 비행자료기록장치의 운용(Operation of Flight Deck Voice and Flight Data Recorders) 8-29
8.1.8.18 승무원의 최소 산소공급 및 사용(Crew Member Oxygen: Minimum Supply and Use) 8-29
8.1.8.19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s) 8-30
8.1.8.20 레이저광선노출 대비 조종사 운항절차 8-30
8.1.8.21 조종장치의 조작(Manipulation of the Control) 8-31
8.1.8.22 비행중 비정상 상황의 모의조작(Simulated Abnormal Situations in Flight) 8-31
8.1.8.23 탑재용 항공일지의 작성(Completion of the Technical Logbook) 8-31
8.1.9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8-32
8.1.9.1 비행계획서의 제출(Submission of a Flight Plan) 8-32
8.1.9.2 비행계획의 계획된 재허가(Planned Reclearance) 8-32
8.1.9.3 비행계획서의 변경(Changes to a Flight Plan) 8-32
8.1.9.4 비행계획서의 종료(Closing a Flight Plan) 8-33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9.5 항공기의 감항성과 안전예방조치(Aircraft Airworthiness and Safety Precautions) 8-33
8.1.9.6 운항시설의 적합성(Adequacy of Operating Facilities) 8-33
8.1.9.6A 운영자 통보(Operator notification) 8-34
8.1.9.7 기상보고 및 예보(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8-34
8.1.9.8 시계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기상제한(Weather Limitations for VFR Flights) 8-34
8.1.9.9 계기비행방식 비행시 목적공항 기상(IFR Destination Aerodromes) 8-34
8.1.9.10 계기비행방식 비행시의 교체비행장 요건(IFR Destination Alternate Requirement) 8-35
8.1.9.11 계기비행방식의 비행을 위한 교체비행장 선정기준(IFR Alternate Aerodrome Selection Criteria) 8-35
8.1.9.13 연료, 오일탑재 계획 및 불확실 요인의 보정(Fuel, Oil and Contingency Factors) 8-36
8.1.9.14 시계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최소연료탑재량(Minimum Fuel Supply for VFR Flights) 8-37
8.1.9.15 계기비행방식 비행을 위한 최소연료탑재량(Minimum Fuel Supply for IFR Flights) 8-37
8.1.9.16 항공기 적재 및 중량배분(Aircraft Loading, Mass and Balance) 8-37
8.1.9.17 모든 탑재명세서에서 고려하여야 할 최대허용중량(Maximum Allowable Weights to be Considered on All Load Manifests) 8-37
8.1.9.18 비행허가 : 시설과 항공고시보(Flight Release: Facilities and NOTAMs) 8-38
8.1.9.19 항공정보의 제공(Dissemination of the aeronautical information) 8-38
8.1.9.20 연료탑재 요건(Fuel Requirements) 8-38
8.1.9.21 비행중 연료관리(In-flight Fuel Management) 8-40
8.1.10 항공기 성능 및 운항제한(AIRCRAFT PERFORMANCE AND OPERATING LIMITATIONS) 8-41
8.1.10.1 적용(Applicability) 8-41
8.1.10.2 일반사항(General) 8-41
8.1.10.3 비행성능 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8-42
8.1.10.5 기록 등의 보존(Retention and Maintenance of Record) 8-43
8.1.11 비행규칙 (FLIGHT RULES) 8-43
8.1.11.1 지상에서의 항공기 운영(Operation of Aircraft on the Ground) 8-43
8.1.11.2 이륙조건(Takeoff Conditions) 8-43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11.3 착빙지역 또는 착빙이 예상되는 지역으로의 운항(Flight into Known or Expected Icing) 8-43
8.1.11.4 고도계의 설정(Altimeter Settings) 8-44
8.1.11.5 최저안전고도 : 일반사항(Minimum Safe Altitudes: General) 8-44
8.1.11.6 비행장 운항 최저치(Aerodrome operating minima) 8-44
8.1.11.6A 계기접근절차를 사용한 2D 계기접근운영을 위한 운영최저치 8-45
8.1.11.6B 계기접근절차를 사용한 3D 계기접근절차운영을 위한 운영최저치 8-45
8.1.11.7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CAT II, III) 운항 : 일반운항규칙(Category II and III Operations: General Operating Rules) 8-45
8.1.11.8 정밀계기접근 제2종 및 제3종 교범(Category II and Category III Manual) 8-46
8.1.11.9 다른 항공기와의 근접비행(Operating Near Other Aircraft) 8-47
8.1.11.10 통행우선권 : 수상운항 제외(Right-of-Way Rules: Except Water Operations) 8-47
8.1.11.11 통행우선권 : 수상운항(Right-of-Way Rules: Water Operations) 8-48
8.1.11.12 항공기 등불의 사용(Use of Aircraft Lights) 8-49
8.1.11.13 모의계기비행(Simulated Instrument Flight) 8-49
8.1.11.14 물건의 투하, 살포, 항공기 예항(Dropping, Spraying, Towing) 8-50
8.1.11.15 시험비행 지역(Flight Test Areas) 8-50
8.1.11.16 비행금지공역과 비행제한공역(Prohibited Areas and Restricted Areas) 8-50
8.1.11.17 성능기반항행 또는 수직분리축소 공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in PBN or RVSM Airspace) 8-50
8.1.11.17.A 필수통신성능 공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in RCP Airspace) 8-52
8.1.11.18 비 관제비행장 또는 그 인접지역에서의 운항(Operations on or in the Vicinity of an Uncontrolled Aerodrome) 8-52
8.1.11.19 비행장 교통장주 고도 : 터보제트기, 터보팬 또는 대형항공기(Aerodrome Traffic Pattern Altitudes: Turbojet, turbofan, or Large Aircraft) 8-52
8.1.11.20 시각 및 전자 활공각 준수(Compliance with Visual and Electronic Glide Slopes) 8-53
8.1.11.21 항공교통관제 허가의 준수(Adherence to ATC Clearances) 8-53
8.1.11.22 통신(Communications) 8-53
8.1.11.23 고의가 아닌 변경(Inadvertent Changes) 8-54
8.1.11.24 항공교통관제기관의 허가 : 의도된 변경(ATC Clearance: Intended Changes) 8-54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11.25 관제공항 근처 또는 내에서의 운항(Operations on or in the Vicinity of a Controlled Aerodrome) 8-54
8.1.11.26 시간점검(Time Checks) 8-55
8.1.11.27 국제항공신호(Universal Signals) 8-55
8.1.11.28 이․착륙을 위한 시계비행 최저기상치(VFR Weather Minimums for Takeoff and Landing) 8-56
8.1.11.29 시계비행의 금지(Unauthorized for VFR Flight) 8-56
8.1.11.30 시계비행방식 비행의 항공교통관제 허가요건(VFR Flights Requiring ATC Authorization) 8-56
8.1.11.31 시계비행기상상태 이하로의 기상악화(Weather Deterioration Below VMC) 8-57
8.1.11.32 시계비행방식에서 계기비행방식으로 변경(Changing from VFR to IFR) 8-57
8.1.11.33 시계비행방식에서 양방향통신 두절(Two-way Radio Communication Failure in VFR) 8-57
8.1.11.34 관제공역에서의 계기비행방식(IFR in Controlled Airspace) 8-57
8.1.11.35 계기비행방식 운항을 위한 최저고도(Minimum Altitudes for IFR Operations) 8-57
8.1.11.36 자동조종장치 사용 최저고도(Minimum Altitudes for Use of an Autopilot) 8-58
8.1.11.37 관제공역 내에서 계기비행고도 또는 비행고도(IFR Cruising Altitude or Flight Level in Controlled Airspace) 8-59
8.1.11.38 비 관제공역에서의 계기비행고도 또는 비행고도(IFR Cruising Altitude or Flight Level in Uncontrolled Airspace) 8-59
8.1.11.39 계기비행방식 무선통신 (IFR Radio Communications) 8-59
8.1.11.40 관제공역에서 계기비행방식 운항시 고장보고(Operation Under IFR in Controlled Airspace : Malfunction Reports) 8-59
8.1.11.41 목적지로 계기비행방식의 지속(Continuation of IFR Flight Toward a Destination) 8-60
8.1.11.42 민간비행장으로의 계기접근(Instrument Approaches to Civil Aerodromes) 8-60
8.1.11.43 계기비행기상상태에서의 착륙(Landing During 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s) 8-60
8.1.11.44 실패접근절차의 실행(Execution of a Missed Approach Procedure) 8-61
8.1.11.45 무인자유기구 운영(Unmanned Free Balloons Operation) 8-61
8.1.11.46 운항의 제한 또는 일시중지(Restriction or Suspension of Operations) 61
8.1.12 승객과 승객처리(Passengers and Passenger Handling) 61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12.1 탑승자가 해서는 아니 되는 사항(Unacceptable Conduct) 8-61
8.1.12.2 승객이 기내에 있거나 승ㆍ하기 중일 때 연료보급(Refuelling with Passengers on Board) 8-62
8.1.12.3 승객좌석, 안전벨트 및 어깨끈(Passenger Seats, Safety Belts and Shoulder Harnesses) 8-62
8.1.12.4 승객 브리핑(Required Passenger Briefings) 8-62
8.1.12.5 비행중 비상조치안내(In Flight Emergency Instruction) 8-63
8.1.12.6 승객용 산소의 최소공급과 사용(Passenger Oxygen: Minimum Supply and Use) 8-63
8.1.12.7 음주 또는 약물(Alcohol or Drugs) 8-63
8.1.12.8 비상구와 비상장비로의 접근(Accessibility of Emergency Exits and Equipment) 8-64
8.1.12.9 무기운반의 금지(Prohibition Against Carriage of Weapons) 8-64
8.1.12.10 객실내의 화물반입(Carriage of Cargo in Passenger Compartments) 8-64
8.1.12.11 승객알림신호(Passenger Information Signs) 8-64
8.1.12.12 객실물품의 고정(Securing of Items of Mass in Passenger Compartment) 8-64
8.1.13 낙하산 및 낙하산 점핑(Parachutes and Parachute Jumping) 8-64
8.1.13.1 적용(Applicability) 8-65
8.1.13.2 일반사항(General) 8-65
8.1.13.3 낙하산 및 낙하산 점프(Parachutes and parachuting) 8-65
8.1.13.4 무선장비 및 사용 요건(Radio equipment and use requirements) 8-66
8.1.13.5 공항 상공 또는 공항으로 점프(Jumps over or onto airports) 8-66
8.1.13.6 A, B, C 및 D등급 공역에서 또는 공역 내로 낙하산 점프(Parachute jumps in or into Class A, Class B, Class C, and Class D airspace) 8-66
8.1.13.7 기타 공역에서 또는 내로 점프(Jumps in or into other airspace) 8-67
8.1.13.8 점프의 취소 또는 연기통보에 필요한 정보((Information required, and Notice of Cancellation or Postponement of jump) 8-67
8.1.13.9 제한 또는 금지구역 상공 또는 상공 내로 점프(Jumps over within restricted or prohibited areas) 8-67
8.1.13.10 구름으로부터의 비행시정 및 거리 요건(Flight visibility and clearance from clouds requirements) 8-67
8.1.13.11 일몰부터 일출 사이의 낙하산 점프(Parachute jumps between sunset and sunrise) 8-68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1.13.12 알코올 및 약품(Alcohol and drugs) 8-68
8.1.13.13 검사(Inspections) 8-68
8.1.13.14 낙하산 장비 및 낙하산 접기 요건(Parachute equipment and packing requirements) 8-69
8.1.17 조종사의 운항자격 : 기장의 지식요건(Pilot knowledge requirements for route and area check : PIC) 8-70
8.2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8-71
8.2.1 항공기 운영교범 8-71
8.2.2 기장의 자격유지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 Takeoffs and Landings) 8-71
8.2.3 조종사 자격유지 : 계기비행(Pilot Currency : IFR Operations) 8-71
8.2.4 조종사 자격회복(Pilot License Recovery) 8-72
8.2.5 조종사의 운항자격 심사 8-72
8.2.6 정비 기록(Maintenance Records) 8-72
8.2.7 성능운용제한(Performance Operating Limitation) 8-73
8.2.8 상승/강하율 운용절차(Operating procedures for rates of climb and descent) 8-74
8.2.9 항행데이터관리(Electronic navigation data management) 8-74
8.2.10 정비관리교범(Operator’s maintenance control manual) 8-75
8.2.11 국외를 운항하는 항공기 정비프로그램(Maintenance programme) 8-76
8.2.12 보안프로그램(Security programme) 8-76
8.3 항공기 사용사업용(Aerial work avi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8-77
8.3.1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8-77
8.3.1.1 비행중요단계에서의 임무(Duties During Critical Phases of Flight : Commercial Air Transport) 8-77
8.3.2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8-77
8.3.2.1 비행계획서류의 배포 및 보존(Flight Planning Document Distribution and Retention) 8-77
8.3.2.2 비행인가요건(Flight Release Required) <삭제, 2010.7.5> 8-78
8.3.2.3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8-78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3.2.4 계기접근절차 및 계기비행착륙최저치(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nd IFR Landing Minimums) 8-78
8.3.3 기내 휴대수하물(Carry-on Baggage) 8-78
8.3.4 승무원의 자격기준(Crew Member Qualifications) 8-79
8.3.4.1 승무원 훈련 일반 8-79
8.3.4.1A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8-79
8.3.4.2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8-80
8.3.4.3 초기보안훈련(Initial Security Training) 8-80
8.3.4.4 초기 승무원 자원관리(Initial Crew Resource Management) 8-80
8.3.4.5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8-80
8.3.4.6 초기 항공기 지상훈련(Initial Aircraft Ground Training) 8-80
8.3.4.7 초기비행훈련(Initial Aircraft Flight Training) 8-81
8.3.4.8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8-82
8.3.4.9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 8-82
8.3.4.10 모의비행장치 사용(Use of Simulators) 8-83
8.3.4.11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의 도입(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or Procedures) 8-83
8.3.4.12 저경력 기장의 기상최저치 운항허가(PIC Low Minimums Authorization) 8-83
8.3.4.13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8-84
8.3.4.14 조종사의 자격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Takeoffs and Landings) –PIC and co-pilot) 8-85
8.3.4.15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8-85
8.3.4.16 비행 지상교관의 자격(Flight Instructor Qualifications) 8-85
8.3.4.17 비행 교관의 자격유지(Maintaining for Flight Instructor Qualifications) 8-86
8.3.4.18 모의비행장치 경험의 대체(Substitution of Simulator Experience) 8-86
8.3.4.19 검열운항승무원 및 교관의 운항자격(Line Qualification: Check Airman and Instructor) 8-86
8.3.4.20 승무원 자격의 기록(Recording of Crew Member Qualifications) 8-86
8.3.4.21 훈련 및 심사에 대한 감독(Monitoring of Training and Checking Activities) 8-87
8.3.4.22 적격기간(Eligibility Period) 8-87
8.3.4.23 요구량의 감축(Reductions in Requirements) 8-87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3.5 비행인가(Flight Release) 8-88
8.3.5.1 비행인가 : 착빙상태(Flight Release in Icing Conditions) 8-88
8.3.5.2 비행인가 :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Flight Release under VFR or IFR) 8-88
8.3.5.3 비행인가 : 항공기 탑재와 성능(Flight Release: Aircraft Loading and Performance) 8-88
8.3.5.4 비행인가 : 항로상에서의 비행인가 수정 또는 재인가(Flight Release: Amendment or Re-release En Route) 8-88
8.4 항공운송사업용(Air transportation) 항공기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8-90
8.4.1 비행성능 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8-90
8.4.2 운항승무원 요건(Flight Crew Requirements) 8-90
8.4.2.1 항공종사자의 업무제한(Airman: Limitations on Use of Service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8-90
8.4.2.2 조종사의 자격 : 최근의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Takeoffs and Landings) –PIC and co-pilot) 8-90
8.4.2.3 조종사의 자격 : 항로교대조종사의 최근 비행경험(Recent Experience cruise relief pilot) 8-90
8.4.3 승무원의 임무와 책임(Crew Member Duties and Responsibilities) 8-91
8.4.3.1 조종실 출입문의 잠금(Locking of Flight Deck Compartment Door) 8-91
8.4.3.2 조종실 출입(Admission to the Flight Deck) 8-91
8.4.3.3 비행중요단계에서의 임무(Duties During Critical Phases of Flight) 8-91
8.4.3.4 통신절차 8-92
8.4.4 비행계획과 감독(Flight Planning and Supervision) 8-92
8.4.4.1 비행계획서(Air Traffic Control Flight Plan) 8-92
8.4.4.2 이륙교체비행장(Takeoff Alternate Aerodromes) 8-92
8.4.4.3 회항시간연장운항 인가를 득하지 못한 비행기의 착륙가능비행장으로 부터의 최대 운항허용 거리(Maximum Distance from an Adequate Aerodrome Without an EDTO Approval) 8-93
8.4.4.4 회항시간연장운항(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s) 8-94
8.4.4.5 회항시간연장운항을 위한 항로상 교체비행장(En Route Alternate Aerodromes EDTO Operations) 8-94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4.6 비행계획서류의 배포 및 보존(Flight Planning Document Distribution and Retention) 8-95
8.4.4.7 비행인가요건(Flight Release Required) 8-95
8.4.4.8 운항비행계획서(Operational Flight Plan) 8-96
8.4.5 항공기 운항 및 성능제한(Aircraft Operating And Performance Limitations) 8-96
8.4.5.1 적용(Applicability) 8-96
8.4.5.2. 일반사항(General) 8-96
8.4.5.3 항공기 성능계산(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8-97
8.4.5.4 이륙성능제한(Takeoff limitations) 8-98
8.4.5.5 항로상 성능제한 : 모든 엔진 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All Engines Operating) 8-99
8.4.5.6 항로상 성능제한 : 한개 엔진 부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One Engine Inoperative) 8-99
8.4.5.7 항로상 성능제한 : 2개 엔진 부작동시(En Route Limitations: Two Engines Inoperative) 8-100
8.4.5.8 착륙성능제한(Landing Limitations) 8-100
8.4.5.9 중량제한(General Weight Limitations) 8-101
8.4.5.10 장애물 정보(Obstacle data) 8-101
8.4.5.11 전자항행자료관리(Electronic navigation data management) 8-101
8.4.6 비행규칙 (FLIGHT RULES) 8-102
8.4.6.1 최저안전고도(Minimum Safe VFR Altitudes) 8-102
8.4.6.2 회항결정(Diversion Decision) 8-103
8.4.6.3 안정된 착륙접근 요건(Steady Landing Approach Requirements) 8-103
8.4.6.4 비행중 비정상 상황의 모의(In Flight Simulation of Abnormal Situations) 8-105
8.4.6.5 목적공항 일시적 제한시의 계속비행(Continuation of Flight when Destination Aerodrome is Temporarily Restricted: Commercial Air Transport) 8-105
8.4.6.6 정밀접근에서의 활주로 말단 통과높이(Threshold crossing height for precision approach) 8-105
8.4.6.7 비행장 운항 최저치(Aerodrome operating minima) 8-105
8.4.6.8 항공운송사업용 계기비행 이륙최저기상치(IFR Takeoff Minimums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8-106
8.4.6.9 계기접근절차 및 계기비행착륙최저치(Instrument Approach Procedures and IFR Landing Minimums) 8-106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6.10계기접근의 시작(Commencing an Instrument Approach) 8-106
8.4.6.12 상승/강하율 운용절차(Operating procedures for rates of climb and descent) 8-107
8.4.7 승객과 승객처리(Passengers and Passenger Handling) 8-107
8.4.7.1 승객의 지시이행(Passenger Compliance with Instructions) 8-107
8.4.7.2 운송 거부(Denial of Transportation) 8-107
8.4.7.3 승객운송요건을 적용받지 않는 탑승자의 운송(Carriage of Persons Without Compliance with these Passenger-Carrying Requirements) 8-107
8.4.7.4 객실승무원의 근무위치(Cabin Crew at Duty Stations) 8-108
8.4.7.5 비상구 확보(Evacuation Capability) 8-108
8.4.7.6 자동비상구 구비(Arming of automatic emergency exits) 8-108
8.4.7.7 승객 탑승상태로 주기(Stops Where Passengers Remain on Board) 8-108
8.4.7.8 지체부자유자의 운송(Carriage of Persons with Reduced Mobility) 8-109
8.4.7.9 비상구 열 좌석(Exit Row Seating) 8-109
8.4.7.10 의료용 산소사용 승객(Oxygen for Medical Use by Passengers) 8-109
8.4.7.11 기내 휴대수하물(Carry-on Baggage) 8-109
8.4.7.13 장거리 해상운항시 승객브리핑(Passenger Briefing: Extended Overwater Operations) 8-110
8.4.7.14 승객용 좌석벨트(Passenger Seat Belts) 8-110
8.4.7.15 승객좌석 등받이(Passenger Seat Backs) 8-110
8.4.7.16 음식, 음료, 승객서비스 물품의 정돈(Stowage of Food, Beverage and Passenger Service) 8-110
8.4.8 승무원과 운항관리사의 자격기준(Crew Member and Flight Operations Officer Qualifications) 8-110
8.4.8.1 승무원 훈련 일반 8-110
8.4.8.1.A 연령 60세 및 65세제한(Age 60, 65 Restriction) 8-111
8.4.8.2 기장의 자격증명 요건 : 터보제트, 터보 팬 또는 대형 항공기(PIC License Requirements: Turbojet, Turbofan or Large Aircraft) 8-111
8.4.8.3 기장의 자격증명 요건 : 비 터보제트 또는 터보 팬 소형비행기(PIC Licence Requirements: Non Turbojet or turbofan Small Aeroplanes) 8-111
8.4.8.4 기장의 비행경험 : 소형비행기(PIC Aeronautical Experience: Small Aeroplanes) 8-112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8.5 부기장(Co-pilot)의 자격증명 요건(Co-pilot Licence Requirements) 8-112
8.4.8.6 항공기관사 임무 수행을 위한 자격을 갖춘 1명의 조종사(One Pilot Qualified to Perform FE Functions) 8-112
8.4.8.7 비행인가 자격을 갖춘 자(Persons Qualified to Flight Release) 8-112
8.4.8.8 항공사 절차 기본교육(Company Procedures Indoctrination) 8-112
8.4.8.9 초기위험물훈련(Initial Dangerous Goods Training) 8-113
8.4.8.10 초기 보안훈련(Initial Security Training) 8-113
8.4.8.11 초기 승무원/운항관리사 자원관리(Initial Crew/ Dispatcher Resource Management) 8-113
8.4.8.12 초기 비상장비 실습훈련(Initial Emergency Equipment Drills) 8-113
8.4.8.13 항공기 지상훈련(Aircraft Ground Training) 8-113
8.4.8.14 비행훈련(Aircraft Flight Training) 8-116
8.4.8.15 초기특수운항훈련(Initial Specialized Operations Training) 8-117
8.4.8.16 항공기 차이점 보완훈련(Aircraft Differences) 8-117
8.4.8.17 모의비행장치 사용(Use of Simulators) 8-118
8.4.8.18 새로운 장비 또는 절차의 도입(Introduction of New Equipment or Procedures) 8-118
8.4.8.19 조종사 운항자격 : 조종사 기량심사(Aircraft Proficiency Checks: PILOT) 8-119
8.4.8.20 계기기량심사(Instrument Proficiency Checks) 8-119
8.4.8.21 조종사의 최근비행경험 재취득(Re-establishing Recency of Experience: Pilot) 8-119
8.4.8.22 비행경험이 적은 운항승무원의 편성(Pairing of Low Experience Crew Members) 8-120
8.4.8.23 항공기관사 기량심사(Flight Engineer Proficiency Checks) 8-120
8.4.8.24 객실승무원 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Cabin Crew) 8-121
8.4.8.24.A 객실승무원의 교관, 심사관, 감독관의 임명 및 지식․기량심사(Appointment and Competence Checks : Cabin Crew Instructors, Examiners and Inspectors) 8-121
8.4.8.25 운항관리사 실무자격심사(Competence Checks: Flight Operations Officers) 8-121
8.4.8.26 조종사 운항경험(Supervised Line Flying/Operating Experience : Pilots) 8-122
8.4.8.27 항공기관사 운항경험(Supervised Line Flying: Flight Engineers) 8-123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8.28 객실승무원 운항경험(Supervised Line Experience: Cabin Crew) 8-123
8.4.8.29 운항관리사 관숙비행(Line Observations: Flight Operations Officers) 8-123
8.4.8.30 조종사의 운항자격 : 기장의 지역․노선 및 공항에 대한 경험요건(Route, Area and Airport Checks : Pilot Qualification) 8-123
8.4.8.31 조종사 운항자격 : 노선심사(Pilot Operations Qualifications : Route checks / Line checks) 8-125
8.4.8.32 저경력 기장의 기상최저치 운항허가(PIC Low Minimums Authorization) 8-125
8.4.8.33 특수공항 지정기준(Designated Special Aerodromes) 8-125
8.4.8.34 운항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8-126
8.4.8.34.A 운항승무원 재 자격부여 훈련(Re-Qualification Training: Flight Crew Members) 8-127
8.4.8.35 객실승무원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Cabin Crew) 8-128
8.4.8.35.A 객실승무원 재자격 훈련(Re-qualification Training ; Cabin crew) 8-129
8.4.8.36 운항관리사 정기훈련(Recurrent Training: Flight Operations Officers) 8-130
8.4.8.37 검열운항승무원의 훈련(Check Airman Training) 8-130
8.4.8.38 비행교관의 훈련(Flight Instructor Training) 8-130
8.4.8.39 비행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교관의 자격(Qualifications of Pilots, Flight dispatchers and Cabin crew Instructors) 8-131
8.4.8.39.A 객실승무원 선임교관, 심사관, 감독관의 자격(Qualifications of Cabin crew Senior Instructor, Examiners and Inspectors) 8-131
8.4.8.40 비행 ․ 운항관리사 및 객실승무원 교관의 자격유지(Maintaining for Flight ․ Flight dispatcher and Cabin crew Instructor Qualifications) 8-132
8.4.8.41 검열운항승무원의 자격(Check Airman Pilot Qualifications) 8-132
8.4.8.42 검열운항승무원의 임명(Check Airman Designation) 8-133
8.4.8.43 검열운항승무원의 제한사항(Check Airman Limitations) 8-133
8.4.8.44 모의비행장치 경험의 대체(Substitution of Simulator Experience) 8-133
8.4.8.45 검열운항승무원 및 교관의 운항자격(Line Qualification: Check Airman and Instructor) 8-134
8.4.8.46 기량심사, 자격심사 또는 노선심사의 중단(Termination of a Proficiency, Competence or Line Check) 8-134
8.4.8.47 승무원 및 운항관리사 자격의 기록(Recording of Crew Member Qualifications) 8-134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8.48 훈련 및 심사에 대한 감독(Monitoring of Training and Checking Activities) 8-134
8.4.8.49 적격기간(Eligibility Period) 8-134
8.4.8.50 요구량의 감축(Reductions in Requirements) 8-135
8.4.8.51 1인 조종사에 의한 계기비행방식(IFR) 또는 야간 운항을 위한 조종사 자격(Single pilot operations under the Instrument Flight Rules(IFR) or at night) 8-135
8.4.8.52 운항승무원의 항공영어 구술능력교육 (Aviation English Proficiency Training Program for Pilot) 8-136
8.4.8.53 CFIT 조종사 훈련(Pilot Training for CFIT) 8-136
8.4.9 승무원 피로관리(Fatigue Management) 8-137
8.4.9.1 적용(Applicability) 8-137
8.4.9.2 비행근무편성 기준의 준수(Compliance with Scheduling Requirements) 8-137
8.4.9.3 비행근무 및 지상휴식시간(Duty and Rest Periods) 8-137
8.4.9.4 최대허용 승무시간(Maximum Number of Flight Time Hours) 8-138
8.4.9.5 특별비행근무계획(Special Flight Duty Schemes) 8-138
8.4.10 비행인가(Flight Release) 8-138
8.4.10.1 적용(Applicability) 8-138
8.4.10.2 운항통제업무를 위한 자격자(Qualified Persons Required for Operational Control Functions) 8-139
8.4.10.3 운항통제와 연관된 업무(Functions Associated with Operational Control) 8-139
8.4.10.4 운항통제업무(Operational Control Duties) 8-139
8.4.10.5 비행인가 : 항공기 요건(Flight Release: Aircraft Requirements) 8-140
8.4.10.6 비행인가 : 시설과 항공고시보(Flight Release: Facilities and NOTAMs) 8-140
8.4.10.7 비행인가 : 기상보고와 예보(Flight Release: Weather Reports and Forecasts) 8-140
8.4.10.8 비행인가 : 착빙상태(Flight Release in Icing Conditions) 8-140
8.4.10.9 비행인가 : 시계비행방식 또는 계기비행방식(Flight Release under VFR or IFR) 8-141
8.4.10.10 비행인가 : 법정연료공급량(Flight Release: Minimum Fuel Supply) 8-141
8.4.10.11 비행인가 : 항공기 탑재와 성능(Flight Release: Aircraft Loading and Performance) 8-141
8.4.10.12 비행인가 : 항로상에서의 비행인가 수정 또는 재인가(Flight Release: Amendment or Re-release En Route) 8-141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8.4.10.13 비행인가 : 기상레이다를 갖춘 항공기(Flight Release with Airborne Weather Radar Equipment) 8-141
8.4.11 표준운항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8-142
8.4.11.1 일반(General) 8-142
8.4.11.2 점검표의 사용(Use of Checklists) 8-142
8.4.11.3 승무원 브리핑(Crew Briefings) 8-143
8.4.11.4 운항중 감염성 의심환자(Traveller with a suspected communicable disease in flight) 8-145
제9장 항공운송사업의 운항증명 및 관리(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Administration) 9-1
9.1 일반(General) 9-1
9.1.1 적용(Applicability) 9-1
9.1.2 용어의 정의(Definitions) 9-1
9.1.3 약어(Acronyms) 9-3
9.1.4 운항증명의 준수 등(Compliance with an Air Operator Certificate) 9-3
9.1.5 운항증명의 신청(Application for an Air Operator Certificate) 9-4
9.1.6 운항증명의 교부 또는 거부(Issuance or Denial of Air Operator Certificate) 9-4
9.1.8 운항증명의 유효기간(Duration of an Air Operator Certificate) 9-4
9.1.10 검사관의 출입 등(Access for Inspection) 9-5
9.1.11 검사 및 점검의 실시 등(Conducting Tests and Inspections) 9-6
9.1.12 운항증명소지자의 운영기준 관리유지(Certificate Holders Duty To Maintain Operation Specifications) 9-6
9.1.13 운영기준의 내용(Contents of Operations specifications) 9-6
9.1.14 운영기준의 변경(Amending Operations specifications) 9-7
9.1.15 운항증명 및 효력 유지(Air Operator Certification and Continued Validity) 9-7
9.1.15.1 적용(Applicability) 9-7
9.1.15.2 운영관리(Administration) 9-7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1.15.2.1 운항기지(Base of Operations) 9-7
9.1.15.2.2 항공운송사업을 위한 관리자의 요건(Management Personnel Required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ions) 9-7
9.1.15.2.3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9-8
9.1.15.2.4 항공안전관련 정책 및 절차에 관한 규정 등의 제출 및 개정(Submission and Revision of Policy and Procedure Manuals) 9-9
9.1.15.2.5 업무종사자 기록 등의 유지 및 보관(Retention and Maintenance of Personnel Records) 9-9
9.1.15.2.6 조종실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의 보관(Flight Deck Voice and Flight Data Recorder Records) 9-10
9.1.15.2.7 항공기 기록(Aircraft Records) 9-10
9.1.15.2.8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AOC Holder's Aircraft Technical Log) 9-10
9.1.15.2.9 전자교범 및 전자기록유지시스템(Electronic Manual & Electronic Record Keeping System) 9-10
9.1.15.2.10 전자비행정보(EFB; Electronic Flight Bag) 9-11
9.1.16 항공기(Aircraft) 9-11
9.1.16.1 항공기의 인가(Authorized Aircraft) 9-11
9.1.16.2 항공기 임대․차 관련 권한 및 의무의 이양(Transfer of certain functions and duties for aircraft lease) 9-11
9.1.16.3 외국등록 항공기의 단순임차(Dry Leasing of Foreign Registered Aircraft) 9-12
9.1.16.4 항공기의 상호교환 사용(Aircraft Interchange) 9-13
9.1.16.5 항공기 포괄임대차 운항(Wet-Leasing) 9-13
9.1.16.6 국적 항공사 간 항공기 임대차(Leases between commercial air transport operators within the State) 9-14
9.1.16.7 외국국적 항공기의 임차승인에 따른 증명서등의 인정(Mutual validation for Certificate & Licences) 9-15
9.1.17 시설 및 운항스케줄(Facilities and Operations Schedules) 9-15
9.1.17.1 시설(Facilities) 9-15
9.1.18 운항업무관리(AOC Flight Operations Management) 9-15
9.1.18.1 적용(Applicability) 9-15
9.1.18.2 운항규정(Operations Manual) 9-15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1.18.3 훈련프로그램(Training Programme) 9-17
9.1.18.4 항공기 운영교범(Aircraft Operating Manual) 9-18
9.1.18.5 조종사 숙달훈련(Training to Proficiency: Pilots) 9-18
9.1.18.6 조종실 점검 목록표(Cockpit Check Procedure) 9-18
9.1.18.7 최소장비목록(MEL) 및 외형변경목록(CDL)(Minimum Equipment List and Configuration Deviation List) 9-19
9.1.18.8 항공기 성능교범(Aircraft Performance Manual) 9-19
9.1.18.9 성능자료 관리시스템(Performance Data Control System) 9-19
9.1.18.10 항공기 탑재 및 처리교범(Aircraft Loading and Handling Manual) 9-20
9.1.18.11 중량배분자료 관리시스템(Mass and Balance Data Control System) 9-20
9.1.18.12 운항자료 관리시스템(Aeronautical Data Control System) 9-20
9.1.18.13 기상자료의 사용(Weather Reporting Sources) 9-20
9.1.18.14 제빙과 방빙 프로그램(De-icing and Anti-icing Programme) 9-21
9.1.18.15 통신시설(Communications Facilities) 9-21
9.1.18.16 운항노선과 운항지역(Routes and Areas of Operation) 9-21
9.1.18.17 항법의 정확도(Navigational Accuracy) 9-22
9.1.18.18 공항요건(Airports : Required data) 9-23
9.1.18.19 안전운항체계변경검사(Approval of Additional Airport) 9-23
9.1.19 정비요건(AOC Maintenance Requirements) 9-24
9.1.19.1 정비 책임 (Maintenance Responsibility) 9-24
9.1.19.2 운항증명 정비 시스템 및 프로그램의 승인과 수락(Approval and Acceptance of AOC Maintenance Systems and Programmes) 9-25
9.1.19.3 정비규정(Maintenance Control Manual) 9-26
9.1.19.4 정비관리(Maintenance Management) 9-27
9.1.19.5 품질시스템(Quality System) 9-28
9.1.19.6 항공기 탑재용항공일지 기록(Aircraft Technical Log Entries) 9-28
9.1.19.7 정비 기록(Maintenance Records) 9-29
9.1.19.8 탑재용항공일지 정비기록 부분(AOC Holder's Aircraft Technical Log - Maintenance Record Section) 9-29
9.1.19.9 탑재용 항공일지 정비 기록부분 확인(Release to Service or Maintenance Section Records of the Technical Log) 9-30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1.19.10 개조 및 수리(Modification and Repairs) 9-30
9.1.19.11 항공기 정비프로그램(Aircraft Maintenance Programme) 9-31
9.1.19.12 정비, 예방정비와 개조를 수행하고 승인하기 위한 권한(Authority to Perform and Approve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Modifications) 9-32
9.1.19.13 정비인력 교육훈련의 요건(Maintennance Personnel Training Requirements) 9-33
9.1.19.14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위탁 등에 관한 요건(Requirements for consignment of Cabin crew training) 9-33
9.1.20 보안관리(Security) 9-34
9.1.20.1 항공기 보안 9-34
9.1.20.2 불법방해행위 보고(Reporting acts of unlawful interference) 9-35
9.1.21 위험물 관리(AOC Dangerous Goods Management) 9-35
9.2 항공기 사용사업(Aerial work avi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 예 비 9-36
9.3 항공운송사업(Air transportation)에 적용되는 추가 기준 9-36
9.3.1 운영관리(Administration) 9-36
9.3.1.1 비행안전문서시스템(Flight Safety Documents System) 9-36
9.3.2 항공기(Aircraft) 9-36
9.3.2.1 비상탈출시범(Emergency Evacuation Demonstration) 9-36
9.3.2.2 시범비행(Demonstration Flights) 9-37
9.3.3 운항업무관리(Flight Operations Management) 9-37
9.3.3.1 운항스케쥴(Operations Schedules) 9-37
9.3.3.2 항공운송사업에서의 기장의 지정(Designation of PIC for Commercial Air Transport) 9-37
9.3.3.3 객실승무원의 수(Required Cabin Crew) 9-37
9.3.3.4 특별상황 승객의 수송(Carriage of Special Situation Passengers) 9-38
9.3.3.5 승무원 심사와 표준화 프로그램(Crew Member Checking and Standardization Programme) 9-38
9.3.3.6 객실승무원 업무교범(Cabin Crew Manual) 9-38
9.3.3.7 승객브리핑 카드(Passenger Briefing Cards) 9-38
제정 : 2001.10.4
개정 : 2014.2.2.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목 차
9.3.3.8 노선지침서(Route Guide) 9-39
9.3.3.9 운항감시시스템(Flight Supervision and Monitoring System) : 국제항공운송사업, 국내항공운송사업 및 소형항공운송사업(정기편 운항의 경우만 해당한다.) 9-39
9.3.3.10 비행추적시스템(Flight Following System) : 소형항공운송사업 9-39
9.3.3.10A 야간 및/또는 계기비행 기상조건에서의 단발 터빈엔진 항공기의 운항(Operations by single-engine turbine-power aeroplanes at night of Additional Airport) 9-40
9.3.3.11 북극 항공로 운항 9-40
9.3.4 정비요건(AOC Maintenance Requirements) 9-40
9.3.4.1 운항증명의 지속적 정비프로그램과 검사 요건 (AOC Continuous Maintenance Programme and Inspection Requirements) 9-41
9.3.4.2 운항증명소지자의 항공기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요원의 임무와 휴식의 제한(Rest and Duty Limitations for Persons Performing Maintenance Functions on AOC Holder Aircraft) 9-41
9.3.5 보안관리(Security) 9-42
9.3.5.1 적용 9-42
9.3.5.2 보안훈련 프로그램 9-42
9.3.5.3 비행서류 등에 대한 보안관리 9-42
9.3.5.4 조종실 보안(Security of the flight crew compartment) 9-42
부 칙 9-43
제1장 총 칙
(General)
제정 : 2001.10. 4. 1 - 40 Rev .
고정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
제1장 총 칙
제1장 총칙(General)
1.1 규정의 구성
1.1.1.1 목적(Objectives)
이 기준은 항공법 제74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법과 국제민간항공조약 및 동조약 부속서에서 정한 범위 안에서 항공기 소유자 등 및 항공종사자가 준수하여야 할 최소의 안전기준을 정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확보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1.1.1.2 적용(Applicability)
가. 이 기준(이하 “규정”이라 한다)은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항공기를 소유 또는 운용하는 자에게 적용된다.
1) 대한민국에 등록된 항공기
2) 대한민국의 항공운송사업 면허를 받은 자가 운용하는 국제민간항공조약(이하 "조약"이라 한다) 체약국에 등록된 항공기(이 경우 조약 83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국가 간의 협정에 의하여 항공기에 대한 정비는 등록국의 규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3) 대한민국 안에서 운용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아닌 조약 체약국에 등록된 항공기
나. 이 규정에서 정한 일반요건은 대한민국 안에서 운항하는 모든 민간 항공기에 적용하되 운항증명 소지자에게만 적용되는 특정요건(운영기준 등 항공당국(이하 “항공당국”으로 한다)으로부터 인가받은 요건)이 일반요건과 상충될 경우에는 특정요건을 우선 적용한다.
다. 이 규정은 적절한 증명(서), 승인서, 운영기준 등의 소지자 및 민간 항공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자에게 적용된다.
라. 이 규정은 법에 따라 항공기등, 장비품 및 부품의 설계, 제작, 정비 및 개조등에 대한 증명(승인 또는 인가) 신청자 및 소지자에게 적용된다.
마. 이 규정은 항공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의 훈련을 담당하는 항공훈련기관을 운영하는 자에게 적용한다.
1.1.1.2.1 유효기간(Duration)
2012. 12. 5
이 고시는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고시를 발령한 후의 법령이나 현실 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야 하는 2017년 12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