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 고시

by 블로그 이름33 2024. 2. 8.

출처: 국토교통부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 고시 요약한 글입니다. 출처는 국토교통부이며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 고시에 대한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 고시 내용에 대한 전문이 필요하신 분은 하단으로 가시면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 고시 다운로드 및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1170호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73조의 규정에 따라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 2030」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www.molit.go.kr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30 고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1170호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73조의 규정에 따라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 2030」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21년 10월 26일

 

국토교통부장관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 2030」 주요내용

 

 

1. 계획의 개요

 

□ 계획수립의 배경

 

ㅇ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 2020」의 계획기간 만료에 따라 2030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신규 기본계획 수립하여 지능형교통체계* 개발․보급 촉진 필요

 

* 교통수단․시설에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교통의 효율성․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

 

□ 계획의 범위

 

ㅇ (공간적 범위) 육상, 해상, 항공 교통수단과 이를 이용하기 위해 설치된 교통시설이 위치하는 전 국토(영해, 영공 포함)

 

ㅇ (시간적 범위) 목표연도 2030년을 기준, 5년 단위로 중장기 구분

 

□ 계획의 주요내용

 

ㅇ 지능형교통체계의 구축 목표 및 기본방향 설정

 

ㅇ 자동차․도로, 철도, 항공, 해상교통 분야별 지능형교통체계의 구축․운영을 위한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수립

 

ㅇ 지능형교통체계의 연구․개발, 산업화 및 표준화 방안 검토

 
2. 추진방향

 

□ 비전 및 목표

 

ㅇ (비전)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면서 단절 없는 사람 중심의 교통서비스 제공

 

ㅇ (목표) 안전, 효율, 연계․혁신, 지속가능의 4대 목표

 

 - (안전) 사고예방과 처리의 통합관리를 통한 안전한 교통체계

 

 - (효율) 지역별․계층별 수요대응형 효율적인 교통체계

 

 - (연계․혁신) 혁신기술을 활용한 단절 없는 연계․혁신의 교통체계

 

 - (지속가능) 포용적이며 친환경 중심의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 추진전략

 

ㅇ (안전) 쌍방향 통신을 활용한 사고의 사전․사후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교통안전 및 보안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교통복지 구현

 

ㅇ (효율) 지역별․계층별 수요대응형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수단과 시설의 상호 초연결을 통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ㅇ (연계․혁신) 차세대 혁신기술을 활용한 육․해․공 데이터 댐을 구축하고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최적 교통연계시스템 구축

 

ㅇ (지속가능) 탄소중립 및 친환경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확대하고 차별 없는 포용적 서비스와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 조성

 

3. 주요 내용

 

□ (자동차․도로) 스마트 CCTV 확대, 도로 위험요소 검지 시스템 개발 등으로 안전사각지대 없는 도로교통환경을 구축하며,

 

 
ㅇ 주요도로 C-ITS 통신인프라 구축, AI 기반 신호 최적화 기술 도입으로 교통운영 최적화 달성 및 자율주행차 기반 마련

 

□ (철도) 데이터 기반 통합철도안전관리시스템 개발, 혼잡관리 및 철도범죄예방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선제적 철도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며,

 

ㅇ 이용객 실내위치측위시스템, 첨두시 혼잡도 완화를 위한 배차 기술 개발 등으로 철도이용자 이동 편의 제고

 

□ (항공) 공항운영 협력적의사결정체계(A-CDM) 확대 구축, 비행정보․교통흐름정보공유체계(FF-ICE) 단계적 도입으로 항공교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ㅇ 생체정보를 활용한 무단절(Seamless) 공항서비스 고도화, UAM 연계 이용 인프라 구축하여 혁신과 연계의 항공교통 기반 마련

 

□ (해상) e-Nav 도입 및 기술 고도화를 통해 해사안전을 강화하고, 스마트 항만ㆍ자율운항선박 운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며,

 

ㅇ AI 기반 차세대 핵심기술(Post e-Nav) 개발, 국제 해양 디지털정보공유플랫폼(MCP) 표준 개발로 산업생태계 조성 및 국제협력 주도

 

4. 참고사항

 

 ㅇ 본 기본계획을 토대로 4개 교통분야별(자동차․도로, 철도, 해상, 항공) 지능형교통체계계획을 별도로 수립할 예정이며, 본 계획의 자세한 내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정책자료/법령정보/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