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설계기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 부분개정
출처: 국토교통부
도로설계기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 부분개정 요약한 글입니다. 출처는 국토교통부이며 도로설계기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 부분개정에 대한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도로설계기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 부분개정 내용에 대한 전문이 필요하신 분은 하단으로 가시면 도로설계기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 부분개정 다운로드 및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 - 389 호 건설기술진흥법 제44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5조의 규정에 의거「도로설계기준 및 도로공사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부분 개정 내용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
www.molit.go.kr
도로설계기준,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교량설계기준 부분개정
도로설계기준 및 도로공사표준시방서(KDS 44 50 00 등 2개 코드) 일부개정(안) 신‧구조문대비표
KDS 44 50 00 도로포장설계
2019 개정(안)
개정사유 및 근거
1.2.7 동상방지층
(1) 포장을 동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주로 자갈과 모래와 같은 비동결 재료를 사용하여 동결에 의한 분리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터널 내 포장의 동상방지층 설치는 갱구 입구부로부터 약 50m까지 설치하며, 입구부의 노상이 암반인 경우에는 필터층을 설치하고, 암반이 아닌 경우에는 갱구 입구부 50m 까지 동상방지층 설치한다.
(2) 출구부는 기후환경 여건을 고려하여 동상방지층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하행이 분리되지 않은 터널의 경우 양쪽 갱구부 모두 동상방지층 또는 필터층을 설치한다.
1.2.7 동상방지층
(1) 포장을 동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주로 자갈과 모래와 같은 비동결 재료를 사용하여 동결에 의한 분리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터널 내 포장의 동상방지층 설치는 갱구 입구부로부터 약 50m까지 설치하며, 입구부의 노상이 암반인 경우에는 필터층을 설치하고, 암반이 아닌 경우에는 갱구 입구부 50m 까지 동상방지층 설치한다.
(2) 노상이 암반인 터널 내 포장에는 동상방지층을 설치하지 않는다. 다만, 터널 입·출구부의 노상이 암반이 아닌 경우 터널 시·종점으로부터 약 60m까지 동상방지층 설치 여부를 공학적으로 판단하여 설치한다.
동상방지층의 정의와 터널 내 설치 조건을 분리
실측결과를 바탕으로 한랭지역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기존 50m에서 20% 안전율을 할증하여 60m로 전이구간을 확대
KCS 44 50 15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2019 개정(안)
개정사유 및 근거
3.2.13 줄눈
(4) 가로수축줄눈
① 수축줄눈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깊이까지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자르고, 홈 내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 후 주입줄눈재로 홈을 채워야 한다.
② 가로수축줄눈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칸 씩 건너서 1차 컷팅을 하여야 한다.
③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가로수축줄눈을 생략한다.
④ 계약대상자는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가로수축줄눈의 설치시기를 결정한다.
⑤ 가로수축줄눈 설치시기 조절만으로 균열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 양생 방법,
콘크리트 배합을 조정하여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⑥ 길어깨나 분리대 측대를 콘크리트로 할 경우 반드시 본선 줄눈 위치와 동일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 신 설 >
1.2.7 동상방지층
(4) 가로수축줄눈
① 수축줄눈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깊이까지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자르고, 홈 내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 후 주입줄눈재로 홈을 채워야 한다.
② 가로수축줄눈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칸 씩 건너서 1차 컷팅을 하여야 한다.
③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가로수축줄눈을 생략한다.
④ 계약대상자는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가로수축줄눈의 설치시기를 결정한다.
⑤ 가로수축줄눈 설치시기 조절만으로 균열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 양생 방법,
콘크리트 배합을 조정하여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⑥ 길어깨나 분리대 측대를 콘크리트로 할 경우 반드시 본선 줄눈 위치와 동일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⑦ 총 연장이 120m 이상인 터널 내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진·출입부 60m를 제외한 터널 내부 슬래브의 가로수축줄눈 간격을 8m로 하며, 균열 유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슬래브 두께의 1/3을 절삭한다. (단, 터널 입·출구부 60m 구간은 기존 본선구간의 설계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외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터널 내 콘크리트 특성상 줄눈 거동이 미미하여 줄눈 유도율을 높이기 위해 가로수축줄눈 간격을 6m에서 8m로 조정하고, 줄눈 절삭 깊이를 슬래브 두께의 1/3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