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블로그 이름33 2024. 4. 6. 00:01

출처: 국토교통부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요약한 글입니다. 출처는 국토교통부이며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에 대한 글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내용에 대한 전문이 필요하신 분은 하단으로 가시면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다운로드 및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olit.go.kr/USR/I0204/m_45/dtl.jsp?gubun=&search=&search_dept_id=&search_dept_nm=&old_search_dept_nm=&psize=10&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srch_usr_nm=&srch_usr_num=&srch_usr_year=&srch_usr_titl=&srch_usr_ctnt=&lcmspage=410&idx=13927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 - 호 「건축법시행규칙」 제3조의5에 따라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정 고시합니다. 2015년 12월 4일 국토교통부 장관

www.molit.go.kr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건축법시행규칙」 제3조의5에 따라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정 고시합니다.

 

2015년  12월  4일

국토교통부 장관

 

 

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제1조(목적) 이 기준은「건축법 시행령」 제3조의5 및 별표1 제4호거목에 따른 다중생활시설에 대한 건축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건축기준) 다중생활시설은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다중이용업 중 고시원업의 시설로서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1. 각 실별 취사시설 및 욕조 설치는 설치하지 말 것(단, 샤워부스는 가능)

 2. 다중생활시설(공용시설 제외)을 지하층에 두지 말 것

 3. 각 실별로 학습자가 공부할 수 있는 시설(책상 등)을 갖출 것

 4. 시설내 공용시설(세탁실, 휴게실, 취사시설 등)을 설치할 것

 5. 2층 이상의 층으로서 바닥으로부터 높이 1.2미터 이하 부분에 여닫을 수 있는 창문(0.5제곱미터 이상)이 있는 경우 그 부분에 높이 1.2미터이상의 난간이나 이와 유사한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시설을 설치할 것

 
 6. 복도 최소폭은 편복도 1.2미터이상, 중복도 1.5미터이상으로 할 것

 7. 실간 소음방지를 위하여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19조에 따른 경계벽 구조 등의 기준과 「소음방지를 위한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기준」에 적합할 것

 8. 범죄를 예방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범죄예방 건축기준」에 적합할 것

 

제3조(재검토기한)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고시 발령 후의 법령이나 현실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 이 고시의 폐지, 개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는 기한은 2018년 12월 4일까지로 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기준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적용례) 이 기준 시행 후 건축허가를 신청(건축허가를 신청하기 위하여 「건축법」 제4조에 따른 건축위원회에 심의를 신청한 경우와 「건축법」제16조에 의한 변경허가를 신청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